03
김필수 이상현 데이터플레이랩스 대표
스포츠 분야 고객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솔루션 제공
스포츠 산업을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모델링과 분석에 대한 요청들이 들어오고 있어
데이터플레이랩스(DataPlay Labs)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스포츠 선수·프로스포츠팀·감독에 대한 체계적 데이터 분석과 다양한 인공지능 예측 솔루션을 통해 고객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스타트업이다. 김필수(39), 이상현(41) 대표가 함께 2023년 2월에 설립했다.
데이터플레이랩스는 국내 최초로 국가 공공기관에 스포츠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예측 솔루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내를 넘어 아시아 최고의 스포츠 데이터 분석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여정을 밟고 있다.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에서 데이터플레이랩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비즈니스 모델은 현재 크게 스포츠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내 최적화된 의사결정 지원 솔루션과 인공지능 기반의 스포츠 경기 예측 서비스로 구분된다.
김 대표는 “국내 최초로 공공기관인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반의 스포츠 경기·경주 예측 솔루션을 제공하기 시작했지만, 점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 모델링과 데이터 분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데이터플레이랩스는 보편적이면서도 혁신적인 데이터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우리 기업의 데이터 분석 비즈니스 모델과 인공지능 기반 예측 솔루션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스포츠 분야가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에 대한 의뢰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아 대책본부에서는 각 지역 센터의 아동과 교사들에 대한 교육 및 훈련 처치 효과에 대한 분석을 의뢰하기도 했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에서는 경영 효율성을 예측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문의하기도 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빅데이터 분석과 더불어 관광 분야의 관광객 패턴과 예측에 대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 의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데이터플레이랩스의 강점은,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분석 기법을 활용하며, 업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방법론이 현장에서 엄격한 전문가 검증을 통해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실히 입증받았다는 점에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와 같은 경쟁우위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깊이 있는 연구에 특화된 우수 인력들이 한팀으로 모여 이루어낸 결과”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와 저는 탁월한 연구 역량을 갖춘 경영학자로서, 경영전략, 인적자원 평가, 리더십, 조직 효율성 등 전통적 경영 이론과 방법론을 스포츠 데이터 분석에 성공적으로 접목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단순한 도구일 뿐, 핵심은 적절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계속되어 경기 결과 예측 성능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습니다.” (이상현 대표)
데이터플레이랩스가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국민체육진흥공단에 제공한 ‘AI Pick’ 솔루션은 경륜 분야에서 연승 적중률을 70% 후반에서 80%대로 크게 상승시켰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프로스포츠 경기 결과 예측 솔루션인 ‘PLai Pick’은 미국 NBA 종목에서도 70% 이상의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다른 종목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과거 단순 승패 확률 제공에서 벗어나, 스포츠베팅 수익 실현 가능성을 실증하는 연구에 착수하며 고객들에게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을 위한 R&D에 적극 투자 중입니다. 조만간 홈페이지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만나볼 수 있을 것입니다.” (김필수 대표)
데이터플레이랩스의 판로개척은 정부 공공기관(B2G) 및 스포츠 협회나 프로스포츠 구단을 통한 R&D 및 경영성과 홍보와 민간기업(B2B) 및 소비자(B2C) 대상 마케팅 두 축으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 대표는 구체적으로 “정부 영역은 2023년부터 시작한 경기 결과 예측(AI pick)에서 출발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3년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에서 출발하면서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을 활용해서 일반인들에게 인지도가 낮은 경륜과 경정 경기 결과 예측 서비스를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납품했고, 현재까지 이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때부터 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경정총괄본부의 마케팅팀을 통해 판매한 인공지능 기반 경기 결과 예측 서비스는 경륜의 접근성을 높이고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높였다는 점에서 호평받았습니다. 덕분에 본 AI PICK 솔루션을 채택한 국민체육진흥공단의 마케팅혁신팀은 2023년 말 공공브랜드 대상, 국민체육진흥공단 베스트프랙티스 1위를 수상했고, 2024년에도 연속으로 공공브랜드 대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경륜경정총괄본부가 큰 관심을 가지고 많은 지원을 해줬습니다. 이와 더불어 데이터플레이랩스의 분석 능력과 AI PICK 솔루션이 시너지를 발휘하여 이 서비스 가치가 전 국민에게 알려진 계기가 됐습니다. 다양한 프로젝트 용역을 수행하면서 저희 데이터 분석 능력과 혁신적인 인공지능 모델링에 대한 공공기관의 평가가 더 좋아졌습니다.” (이상현 대표)
데이터플레이랩스는 경륜, 경정, 경마 경기 결과 예측 관련 특허를 올해 등록하였으며, 경기 결과 예측이나 베팅에 관한 추가 특허도 출원된 상태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을 확장하는 차원에서 인공지능 기반 프로스포츠 선수 연봉산정 예측 시스템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러한 특허와 R&D 기술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스포츠 종목의 구단들과의 활발한 미팅도 진행하고 있다.
“개발한 기술은 초격차 기술로서 국내외 학술 저널에 매년 평균 20여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어 게재되고 있습니다. 덕분에 프로스포츠팀 및 협회 관계자들은 선수 평가, 보상 체계, 향후 퍼포먼스 예측 등 주요 의사결정 자료로 우리 분석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부상 선수 예측이나 비정상적인 경기 감지 역시 중요한 분석 항목으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상현 대표)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이 대표는 “국내 미개척의 스포츠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분야에서 확고한 선구자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며 “북미와 유럽의 롤모델 상장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국내 최초를 넘어 최고의 데이터 분석 기업으로 성장해 많은 이들이 우리 기업을 이 분야 최초이자 최고로 인식하고 지지해 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내년부터 일본을 시작으로 아시아 전역으로 진출하며, 국내 최고의 스포츠 데이터 분석기업으로 상장함으로써 스포츠 산업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와 함께 K-스포츠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겠다”고 말했다.
설립일 : 2023년 2월
주요사업 : 스포츠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모델링, 데이터 분석 솔루션
성과 : 데이터분석 논문 60여 편, 특허 3건(1건 등록,2건 출원 중), 2025 서울시 캠퍼스타운 2년 연속 선정, 2024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분야 경영 대상, 2024 한성대학교 캠퍼스타운 우수사례 기업 선정, 202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최우수 학술상, 2024 중국과학기술협회 해외 인재혁신창업경진대회 한국 1위, 2024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체육과학연구상 최우수상, 2024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 AI PICK 시범운영, 2024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 예비초기창업지원기업 선정, 2024 서울시 캠퍼스타운 창업지원 기업 선정, 2024 스포츠 경기예측관련 특허 출원, 2024 감사연구소(기업 교육), 뻔뻔한 스포츠(스포츠 이벤트 운영업체)·CST(행정사 법인)와 MOU 체결, 2023 체육산업개발 공공데이터활용 경진대회 우수상, 2023 한국스포츠산업경여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상, 2023 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 AI PCIK 시범 및 본 사업 실시, 2023 단양군 주관 지역 기업교육, 202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우수상
출처 - 잡앤조이(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506308837d)
24
AI(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데이터플레이랩스(구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가 NGO(비정부기구) 혁신을 지원하는 AI 데이터 기반 예측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NGO의 내부 데이터와 외부 비정형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후원금 흐름, 기부자 행동, 캠페인 성과 등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업체 관계자는 "이 솔루션이 NGO 현장에서 실질적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NGO는 시기·환경별 기부 변동을 파악해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솔루션은 다양한 예측 모델(기부자 이탈 예측, 기부자 평생 가치 분석, 캠페인 성공률 및 참여도 예측 등)로 NGO의 모금 및 사업 추진 효율성 향상을 돕는다. 데이터 기반 전략 수립과 지속 가능 성장도 지원한다.
데이터플레이랩스는 국민체육진흥공단 등에 AI 예측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술력을 입증해 온 기업이다. 업체 관계자는 "기존 스포츠 경기 결과 예측 솔루션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NGO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였다"며 "NGO들이 기부 변동과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데이터플레이랩스는 이 솔루션이 NGO 모금과 사업 전략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내다봤다. 업체 관계자는 "국내외 NGO들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으로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AI 솔루션을 꾸준히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62410124424508)
10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김필수 원장)이 AI(인공지능) 기반 스포츠 경기 결과 예측 서비스가 스포츠 베팅 산업의 신뢰성·투명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원은 최근 경영·마케팅 분야 권위지인 '상품학연구' 제43권 제2호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 제목은 'AI 기반 스포츠 경기 결과 예측 서비스가 스포츠 베팅 산업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경정 AI Pick(픽)의 사례'다.
이번 연구는 국민체육진흥공단이 발주한 '경륜·경정 승자 예측 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AI 픽' 솔루션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경륜·경정 경주의 승자 예측에 합성곱 신경망(CNN), 로지스틱 회귀모델, 다층신경망(MLP) 등의 AI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그 결과 AI 픽 도입 후 여성 고객이 26.8%, MZ세대 고객이 16.7% 늘어나는 등 비인기 종목의 확장을 확인했다.
연구 관계자는 "AI 기술 도입이 스포츠 마케팅 효과를 높이고 스포츠 베팅 산업의 발전과 스포츠산업 전반의 구조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은 연구 중심의 스포츠 AI·데이터 분석 전문기업이다. 경륜·경정 경기 결과 예측 시스템(AI 픽)을 국민체육진흥공단에 공급했다. AI 기반 프로스포츠 경기 예측 솔루션(PLai PICK)도 출시했다. 관련 기술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연구원은 70여 개의 스포츠 데이터 분석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회사 측은 경기 결과 예측, 선수·팀 분석, 프로스포츠 팬 행동 분석 등의 R&D(연구·개발) 프로젝트로 국내 스포츠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다고 했다.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로 스포츠 베팅 산업의 잠재력을 확인했다"며 "AI와 데이터 기반 기술을 적극 도입한다면 스포츠 마케팅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공정성과 효율성을 갖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스포츠 AI와 데이터 분석 경쟁우위를 강화해 국내 스포츠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출처 - 머니투데이(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205035?sid=101)
05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원장 김필수)이 최근 한국체육학회지 제64권 3호에 '한국프로농구 경기 결과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및 효용성 검증' 논문을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2017~2018시즌부터 2023~2024시즌까지 한국프로농구(KBL) 1833경기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경기 시작 전 확보할 수 있는 여러 변수와 외부 환경 요인을 반영한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원은 자원 기반 이론과 직무 요구-자원 이론을 통합 적용, 팀의 경기 전력을 파악했다. 그 결과 7가지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로지스틱 회귀 모델이 66.79%의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경기 기록 중심의 분석을 넘어 △경기 일정 △이동 거리 △외국인 선수 출전 불가 여부 등 사전에 접할 수 있는 정보를 반영, 스포츠 현장의 변수들을 효과적으로 대변하는 예측 체계를 선보였다고 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스포츠 애널리틱스 분야의 학술적 기여로 평가될 수 있다"며 "스포츠 데이터 과학이 스포츠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은 스포츠 AI 적용 데이터 분석과 스포츠 산업 경영 전략 연구에 특화된 곳이다. 현재까지 70여 편 이상의 논문을 국내외에 발표했다. 자사 AI 예측 모델이 스포츠 산업 현장의 의사결정 지원과 팬 경험 혁신을 위한 핵심 도구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 성과는 연구진의 뛰어난 학술 능력과 혁신 분석 기법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스포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연구·개발) 투자와 기술 확장이 앞으로의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머니투데이(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KBL 경기 예측 AI 모델 개발' 논문 발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