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포츠팀의 효율성이란 무엇일까요? KBL과 NBA 데이터분석을 통해 한번 봅시다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2025-01-20

ssjeon@k-spo.co.kr



오늘은 스포츠에서 많이 사용하는 효율성 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효율성은 투입량 대비 산출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스포츠 연구에서는 스포츠팀의 효율성을 이야기 할 때 구단에 투입된 재정(연봉) 대비 매출(티켓판매 + 기타 수입) 등을 추정해서 매출이 높은 팀을 효율성이 높은 팀이라고 분석합니다.

하지만, 이 정의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스포츠에서의 효율성과는 조금 달라보이지 않나요?

"김XX는 리그에서 제일 효율적인 선수야" 라고 하는 것은 연봉 대비 성적이 좋은 선수라는 의미로도 쓰지만 우수한 선수라고 쓰이는 경우도 많죠?

이런 개념에서 스포츠팀이 효율적이라는 것은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팀이라는 의미도 포함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하지만, 또 하나, 일반적인 효율성의 개념도 같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도 당연하지요.

이런 개념을 모두 포함한 농구팀의 효율성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이 있습니다.

우선 KBL 효율성에 대한 연구를 하나 소개할게요

바로 "DEA 모형을 한국프로농구팀 상대적 효율성 평가 및 정규리그승률 영향 분석 " 이라는 논문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KBL 9년간의 (2013~2014 - 2021~2022시즌) 정규리그에서 한국프로농구 구단의 보수총액, 샐러리캡소진율, 집합적인 경기성적(팀 득점, 리바운드, 블록, 스틸 등 9개 요인) 데이터를 수집해서 효율성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스포츠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이 연구에서 국내 최초로 경기력 요인과 재정적 요인을 동시에 투입요인으로 넣어서 효율성을 분석했습니다.

프로스포츠팀은 선수단을 운영하기 위한 재정적 요인과 선수단의 능력치에 해당하는 인적자원적 요인 두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효율성은 재정과 인적자원을 팀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능력을 프로스포츠팀의 효율성이라고 정의했고, 이 효율성을 바탕으로 KBL 팀의 성적에 대한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효율성은 성적을 높이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는 프로스포츠팀의 효율성은 단순히 투입 재정-매출 간의 관계만을 이야기해서는 안되고 스포츠라고 하는 특성을 반영해서 효율성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는 화두를 던지면서 스포츠팀의 효율성이라고 하는 독특한 장르의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은 9년 간의 각 팀의 효율성과 실제 성적 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0b1d9053fac53a5363551c0e60eab228_1737340011_0614.PNG
 


Evaluat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NBA teams on franchise value. [PLOS ONE]


이와 유사한 해외 연구도 있네요.

2024년에 발표된 최신 논문입니다. 영어로 되어 있는 논문이라 불편해 하실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해드릴게요.

방금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팀에 활용되는 재정적 요인과 인적자원 요인을 투입요인으로 놓고, 팀의 승률과 수익(Revenue)를 산출요인으로 놓고 효율성을 분석했습니다.

NBA 6개 시즌 데이터를 바탕으로 효율성을 분석 한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0b1d9053fac53a5363551c0e60eab228_1737340048_4105.PNG
 



재미있는 건 효율성이 가지는 의미입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효율성이 높은 팀은 해당 시즌의 팀 성적이나 이익이 높아진다에서 끝나지 않고, 프로스포츠팀의 더 깊숙한 본질적 가치인 팀 가치(포브스 가치로 측정했습니다)를 높인다고 하네요. 아래 표에서는 model 2에 operating efficiency를 보시면 됩니다.

0b1d9053fac53a5363551c0e60eab228_1737340064_8707.PNG
 




두 개 논문을 묶어서 소개하다보니 글이 많이 길어졌네요.

스포츠에서 효율적인 팀, 효율적인 선수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나오지만, 정작 스포츠에서 효율성의 정의가 뭔지,

일반적인 효율성과 같은 의미인지 등등에 대한 내용은 잘 정리돼지 않은 경우가 많아 유용한 자료 소개 드렸습니다.

이 두 연구는 공통적으로 프로스포츠팀이 가진 자원은 재정과 선수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효율성을 팀이 가진 자원을 승리로 변환하는 힘이라고 정의하네요.

KBL 효율성에 대한 논문은 국내 최고 권위를 지닌 학술지 중 하나인 체육학회지,

NBA 효율성에 대한 논문은 SCI급 저널 중 하나인 PLOS ONE에 게재된 논문입니다.

위 논문들 읽어보고 올 겨울에 펼쳐질 프로농구 시즌 지켜보시면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 같네요.

다음에 또 다른 이야기 들고 오겠습니다.

Sports analytics in our days,

Imagine to Win.

 



 

0건의 글이 있습니다.
  • (주)데이터플레이랩스
  • 대표 이상현, 김진주
  • 주소 [한성대학교 상상밸리3]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10바길 38 202호

  • (주)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 대표 최빛나, 전성삼
  • 주소 [국민체육진흥공단 SPORTS 360° LAB]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로 424 202호
Copyright 2024 Korea Sport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