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역대 최고감독은 누구일까요?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2025-01-20

ssjeon@k-spo.co.kr



프로스포츠에서 명장이라는 것이 존재하는지, 또 그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선수만 좋으면 성적은 잘 나온다, 혹은 선수를 잘 다루는 것이 좋은 감독이다, 좋은 감독은 우승 횟수로 이야기 한다 등 다양한 의견이 있고, 

전문가들도 이에 대한 명확한 의견을 내는 것을 찾기 힘듭니다. 그만큼 감독에 대한 다양한 시선이 있다는 것이겠지요?

2024년 "한국프로야구 감독역량의 평가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 세이버메트릭스 기반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적용" 이라는 논문은 이런 논란에 대해 재미있는 이야기를 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프로야구 감독에 대한 평가를 했습니다. 한국 프로야구 정규시즌만을 두고 분석을 했고, 저자들은 팀이 가진 평균적인 선수의 능력을 잘 활용해서 예상 가능한 성적보다 높은 성적을 낼 수 있다면 그것이 곧 좋은 감독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한국프로야구 원년(1982년) 부터 작년(2023년)까지 팀이 가진 선수단의 각종 능력치를 가지고 해당 년도의 이론적인 승률을 머신러닝으로 추산하고, 거기에서 나오는 편차는 감독의 운영능력 때문에 벌어지는 것이라고 가정했습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해당 팀의 전력으로 예상할 수 있는 팀 성적이 승률 0.500인데 실제 0.600의 최종 승률이 나왔다면, 감독이 코치진을 잘 활용하고, 적절한 용병술을 통해서 박빙의 승부처에서 1점 더 내고 1점 덜 주게 노력했다는 것, 그리고 1년을 잘 운영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독 커리어상의 연도별 평균을 이용했기 때문에 너무 짧은 기간은 배제하고자 5년 이상 감독을 역임한 감독만을 리스트에 넣었습니다. 논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더 궁금하신 분들은 이 링크에 가서 한번 확인해보세요.

한국프로야구 감독역량의 평가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 세이버메트릭스 기반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적용.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논문에서 제공하는 감독 통산 상위 9명의 명단과 커리어 기간 중 나타난 감독 역량은 이렇습니다.

해당 논문 페이지 캡처입니다.

0b1d9053fac53a5363551c0e60eab228_1737339894_0893.PNG
 



각 야구팀 팬들, 그리고 관계자분들 논란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논란과 의견 개진은 스포츠 발전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0건의 글이 있습니다.
  • (주)데이터플레이랩스
  • 대표 이상현, 김진주
  • 주소 [한성대학교 상상밸리3]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10바길 38 202호

  • (주)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 대표 최빛나, 전성삼
  • 주소 [국민체육진흥공단 SPORTS 360° LAB]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로 424 202호
Copyright 2024 Korea Sport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