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항저우에서 2023년도에 펼쳐진 제19회 아시 안게임 대회에서 대한민국 배구 국가 대표팀의 저조 한 경기력은 메달을 획득하지 못하는 대참사로 이어 졌다. 이는 국내 프로배구리그(KOVO: Korean Volleyball Federation)의 경쟁력과 전반적인 비효율 문제에 대한 논쟁이 다시 점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 프로배구리그의 경쟁력과 효율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리그 의 효율성과 국제대회 성적 간의 관계에 대하여 실 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 로 국내 프로배구리그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전략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배구연맹과 대한배구협회에서 여자 프로배구 전체 경기데이터 중 2012~2013시즌부터 2022~2023시즌의 다양한 경기 관련 지표 및 연봉에 관한 데이터를 파이선 프로그래밍을 활용하여 수집 하였다. 국내 프로배구리그에서 발생한 다양한 경기 지표들과 평균연봉을 투입변수로, 리그의 경쟁 강도 를 계산하여 산출변수로 투입하여 자료포락분석 윈 도우(DEA Window)의 결과물인 시간의 흐름을 고려한 효율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1) 한국 여자 프로배구리그는 2015 년, 2019년, 2020년 효율성 1을 달성하였으며, 2021년 0.52로 크게 하락하였고, 2) 국제대회 순위는 2016년 9위, 2020년 10위, 2021년 9위였으나 2022녀 23위로 크게 하락하였으며, 3) 이 기간 2015년 외국인 선수 선발제도의 변화, 2017~2019년간 급격한 트레이드 건 수의 증가, 2020년 이후의 트레이드 감소의 인과적 원인과 일치한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 여자 프로배구 리그가 내재한 선수자원의 효율적 분배가 선행되면 리그 효율성 및 국제대회 성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내 프로배구리그의 효율성을 선 제적으로 추산하고 효율성의 원인과 결과를 규명하 여 현장에서 참고할만한 가이드를 유의미한 실증연 구 결과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핵심어 : 스포츠 애널리틱스, 여자 프로배구, 리그 효율성, 자료포락분석, 국제대회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