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프로야구(KBO: Korea Baseball Organization) 리그에서 경쟁 하는 프로구단의 조직역량과 경기성과(competitive performance)간의 인과관계 에 대해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한국프로야구팀의 경기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역량(organizational capabilities)의 요인 으로 1) 인적자원 (구단의 골든글러브 선수 보유, 외국인 선수 비중, 감독 역 량), 2) 감독 특성 (정규시즌 우승경험, 경력, 감독교체시 구단 내부 감독자원 의 검토, 외국인 감독 선임 여부), 3) 팀의 프런트 역량 (선수출신 단장, 모기 업 기업집단 여부, 자유계약선수 구매력)에 주목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영전략 분야의 주요 이론 중 하나인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theory of the firm)을 스포츠산업 및 경영학의 연구에 적용하고 개발하여 한국프로야 구팀의 경기성과 결정요인에 대해 복합적으로 실증분석 함으로써 조직역량 기 반의 경쟁력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기본적으로 자원기반이론의 시각은 치열한 리그의 경쟁환경에서 정규리그와 한국시리즈(Korean Series)에서 본격 적으로 우승경쟁을 하기 위해 프로야구팀은 본연적으로 내재하고 있는 조직역 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차별화된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끊임없이 실행해야 한다고 본다. 연구모형에 적용된 한국프로야구팀의 다양한 조직역량 결정요인 이 각각의 가치고유성, 희소성, 모방불가성, 대체불가능성의 속성을 잘 나타낼 경우 경기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난 40년간(1982-2021)의 한국프로야구 정규리그 시즌을 구성하는 전체 프로 야구 경기의 데이터를 계량적으로 가공하고 분석하는 동시에 한국프로야구팀 의 모든 경기기록, 선수기록, 감독, 코칭스태프, 단장의 특성과 구단 프런트를 포괄하는 조직역량에 대한 전반적인 자료를 종합하여 310개의 불균형패널 (unbalanced panel)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실증연구결과의 도출을 위한 통계적 검증을 위해 확률효과 일반화 최소자승 법 패널회귀분석(Generalized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한국프로야구팀의 조직역량을 구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인적 자원의 요소 중 골든 글러브 선수(β=.004, p<.01)와 우수한 역량을 내재한 감독(β=.219, p<.001)의 보유 여부가 한국프로야구팀의 효율적인 경기성과 향상 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프로야구팀이 조직역량을 바탕으로 리 그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인적자원의 비교경쟁우위를 창출하기 위해 골든글 러브 선수 육성과 더불어 뛰어난 감독에 대한 투자를 반드시 고려해야 긍정적 인 경기성과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에 한국프로야구팀의 경기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국인 선수 비중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한국프로야구팀의 조직역량에 중요한 감독 특성의 요인은 한국프로야 구팀이 높은 수준의 경기성과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규시즌 우승을 경험(β=.004, p<.05)하였거나 구단 내부에서 선임된 감독(β=.009, p<.05)이 팀을 지휘할 경 우 긍정적인 경기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프로감독의 내재화된 우승경험과 풍 부한 전문지식은 소속 프로야구팀의 조직역량 차원을 재구축하고 통합하는 혁 신적인 전략과 리더십을 통해 우승팀에 근접한 전력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또 한, 프로야구팀 내부에서 선임된 감독의 경우 구단의 내부사정을 이미 잘 파 악하고 있어 감독교체로 발생할 수 있는 조직역량과 경기성과의 공백을 최소 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한국프로야구 리그 감독의 특성 중 경력 과 외국인감독의 선임이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한국프로야구팀의 프런트 조직역량은 경기성과 결정요인으로써 일부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선수출신 단장(β=.010, p<.05)과 모기업 기업집단(β=.020, p<.05)의 여부는 프 로야구팀이 효율적인 경기성과를 달성하여 리그에서 경쟁력을 발휘하는데 중 요한 프런트 역량으로 인식될 수 있다. 프로야구팀의 선수출신 단장은 야구선 수 출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장과 원활하게 소통하여 프런트 본연의 역할 인 경영과 운영을 통한 구단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 행하여 발전적인 경기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야구팀의 모기업이 기업집단인 경우 팀이 위기상황에 봉착했을 때 프런트의 조직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적인 경영 지원을 바탕으로 팀이 당초에 설정한 경기성과의 목표 치를 달성하는데 확연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프런트의 조직역량 중 자유계약선수 구매력이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프로야구팀을 대상으로 자원기반이론의 적용과 실증연구를 통해 구단의 효율적인 조직역량 수준은 경기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프로야구팀의 관점에서, 경기성과의 결정요인으로 골 든글러브 선수의 육성, 대체불가능한 우승경험을 지닌 뛰어난 감독과의 계약, 감독교체시 구단 내부 감독자원의 검토, 선수출신 단장의 선임, 모기업의 기업 집단 여부는 합리적인 구단이 조직역량을 구축함에 있어 전략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반드시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가 한국프로야구 리그에서 비교경쟁우위을 달성하여 탁월한 경기성과 목표를 지향하고 궁극적으로 승률 을 향상시키는데 주안을 두고 있는 프로야구팀의 효율적인 경영과 전략적 의 사결정에 참고자료로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자원기반이론, 경기성과, 조직역량, 한국프로야구
링크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