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 경기 중 열세 상황에 대한 인식이 경기결과에 미치는 영향: 전망이론에 근거한 실증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24-10-02
+ 0
32_ 한국프로농구 경기 중 열세 상황에 대한 인식이 경기결과에 미치는 영향 전망이론에 근거한 실증연구..pdf (781.0K)
본 연구는 전망이론에 근거하여 프로스포츠 경기 중 열세 상황에 대한 인식이 동기부여 효과로 이어져 경기결과에 영향에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으로 한국프로농구(KBL) 원년인 1997시즌부 터 2021~2022시즌까지 KBL의 챔피언 결정전 131경기의 결과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표본의 경기데이터를 대상으로 회귀 불연속설계를 이용하여 전반전 및 3쿼터 종료 시점에서의 점수 차에 따른 홈팀 승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전반전 종료 후 홈팀의 승률 변화는 배정점(점수 차=0) 근처에서 하락 단절로 나타나, 홈팀이 근소한 열세 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홈팀에게 동기부여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3쿼터 종료 후 홈팀의 승률 변화는 배정점 근처에 서 상승 단절로 나타나, 3쿼터 종료 후에는 열세 상황의 인식이 경기의 승률에 영향을 줄 만큼의 동기부여로 작용하지 않 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증적 근거를 통해 전망이론을 토대로 한 스포츠 행동 해석에 관한 선행연구의 논의 를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실무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 또한 제시하였다.
주요어 : 전망이론, 준거점, 민감도 체감, 손실 회피 성향, 회귀불연속설계
링크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4023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