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jeon@k-spo.co.kr
[목적] 본 연구는 경륜 선수의 핵심 역량과 성적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선수의 핵심 역량과 선수가 가진 자원을 활용하여 성적으로 변환하는 능력인 선수 효율성의 상호작용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2022년과 2023년에 광명스피돔에서 펼쳐진 선수들의 경기기록 20,185단위를 파이선(Python) 3.11.1을 활용하여 수집하고 R4.3.1 패키지로 선수 효율성을 추산하였다. 이후 SPSS 26.0에 탑재된 PROCESS 4.1의 Macro 1번 모형을 활 용하여 경륜 선수의 신체 능력(200m 기록)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과 선수 효율성이 선수의 신체 능력 성적의 관계에 미치 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선수의 신체 능력은 선수 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200m 기록은 1위 이내 입상 가능성(coeff=-.68, p<.01), 2위 이내 입상 가능성(coeff=-.56, p<.01), 3위 이내 입상 가능성(coeff=-.46, p<.01)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선수 효율성은 선수의 200m 기록과 입상 가능성의 관계를 조절하였 다. 구체적으로 선수 효율성이 높아질수록 같은 속력을 지닌 선수의 1위 이내(coeff=-.47, p<.05), 2위 이내(coeff=-.28, p<.05) 및 3위 이내(coeff=-.28, p<.05) 입상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선수의 핵심 역량과 성적 간의 관계를 자원기반이론 바탕으로 설명하고, 선수 효율성이 선수의 핵심 역량 과 성적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라는 것을 실증한 선도적인 연구로서 그 가치를 지닌다.
주요어 선수 핵심 역량, 선수 효율성, 경기성과, 자원기반이론, 경륜